솔루션

카테노이드는 다양한 분야에 최적의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게시물 상세
[온라인 교육] 경쟁환경 대응과 시청자 경험 극대화를 위한 최적화 노력
작성일 : 2021-05-13조회수 : 3368
첨부파일 main_solution_education_4.jpg

비디오 플랫폼이 가장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있는 국내 온라인 교육 분야는 초, 중, 고 및 성인교육에 이르기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들은 에듀테크 (edu-tech) 기반의 지식기업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한편, 경쟁은 매우 치열합니다.

 
1타 강사를 중심으로 매출과 트래픽이 이동되는 치열한 환경이외 AI등의 첨단 기술 연동 및 시청자 경험을 조금이라도 더 개선하기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됩니다.




온라인 교육 사업은 자사의 독창적인 사업 전략을 담고 있는 전용 앱 (app)의 개발을 필수로 합니다. 그리고 사업전략의 핵심 중 하나인
비디오 재생은 전용 앱에 맞춰 최적화된 비디오 플레이어 SDK와 비디오 플랫폼의 충분한 지원을 필요로 합니다. 


  • 스페셜 혹은 이벤트 신규 강의는 전략적으로 해상도를 높여 제공됩니다. 또한 강의 오픈 시점에 맞춰 인코딩 프로파일 변경 설정과
    적용이 빠르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은 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API 개발 지원이 필요합니다.

  • 요구사항에 맞게 개발된 API에 따라 시청자 앱에는 비디오 재생 옵션기능이 업데이트 됩니다. 신규 프로파일로 인코딩된 영상을
    호출하는 로직과 비디오 재생 시 필요한 웹토큰 (webtoken) 수정사항, 화질 선택 옵션 등이 포함됩니다.

  • 또한 양사는 비디오 플랫폼에서 수집 처리된 사용자 시청 환경 분석 (OS, browser, player version) 데이터를 토대로프레임 드랍(frame drop)이 일어날 가능성과 대안을 모색합니다.

  • 그리고 원본 영상을 분석하여 최적의 비트레이트(bit-rate)와 해상도(resolution)를 찾는 과정을 함께 합니다.

 

양상으로 인강 서비스는 비디오 플레이어, 인코딩, CDN 서비스 매니지먼트로 대표되던 20년 전의 형태와 동일하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앱 (app) 기반 시청환경이 대중화되면서 보다 디테일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IOS, Android, Windows와 같은 OS와 각 브라우저 업데이트는 자막 (caption) 같은 작은 미디어요소에도 영향을 줍니다.
    이로 인해 IOS, Android에서 webVTT 자막 스펙이 예상한대로 적용되지 않거나 랩탑(PC)과 다르게 보일 경우 비디오
    플레이어 SDK 상 미세조정으로 최적화합니다.

  • 때로는 자막 폰트가 굴림으로 보이는지 HY헤드라인M으로 보이는 지에 대한 문의와 해당 라이센싱 (licensing) 조건을
    확인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시청자 디바이스가 하드웨어 코덱 혹은 소프트웨어 코덱을 임의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시청 장애가 생겨날 여지가 있습니다,
    주로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의 업데이트 시 영향을 받습니다.

콘텐츠 보안 이슈도 여전히 민감한 문제입니다. 스트리밍 서비스이외 오프라인 학습을 위한 다운로드 서비스는 지속 유지되고 있으며,
DRM 이외 녹화방지, 중복재생차단, 녹화 캡쳐 방지는 콘텐츠 기본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양방향 화상 솔루션과
다양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e.g Chrome Extension)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슈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기능은 인강 서비스 시청자가 다른 용도로 자유롭게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들 중 하나입니다.
    해당 소프트웨어들의 차단을 위한 플랫폼 업데이트 사항은 인강 서비스 고객사와 면밀히 협의해야 하는 사항이 되기도 합니다.
  •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최단 시간 내 개선점을 찾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시청에러는 여러 에러코드로 표출되며, 비디오 플랫폼은 타 모니터링 데이터 항목과 연결하여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예를 들어, 8805 에러코드가 중복재생차단보다 많이 발생할 경우, 해당 로그데이터와 SDK적용 버전 체크, 앱 업데이트 시기 등을 
  • 역 추적하여 원인을 확인합니다. 또한 앱 리뉴얼 사항을 재점검하면서 추가적 개선 등의 모니터링 업무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서비스 개선 관련 다양한 이슈들이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영상 품질을 보다 개선하기 위한 압축 코덱 도입 (H.265/HEVC), 

유연한 UX를 위한 HTML5 기반 비디오 플레이어, 그리고 Multi-DRM 도입입니다. 이는 최근 인터넷 강의 시청 환경 중 Tablet 사용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UX 개선 요구에 맞춘 트렌드에 기인합니다.

 

해당 요구사항은 디바이스와 OS환경, 그리고 APP의 개발 편의성까지 포괄해야 합니다. 카테노이드 서비스는 이러한 온라인 환경 변화에
맞춘 서비스 최적화를 협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전글 피트니스 트레이닝 콘텐츠를 위한 TV-OUT Control
다음글 전문인을 위한 온라인 교육 스트리밍 서비스
TOP

Sitemap닫기

사업영역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
미디어 자산관리 플랫폼
비디오 커머스 플랫폼
솔루션
파트너
파트너 리스트
파트너 신청
문의하기
고객지원
지식센터
다운로드 센터
카테노이드
회사소개
고객가치
공지사항
언론보도
채용